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연봉 1억일 때 월 실수령액, 연령대별 평균 연봉, 공제 항목 확인해보세요.
흔히 억대 연봉이라고 하면 부러움의 대상인데요,
연봉 1억이면 실수령 월급은 얼마나 될까? 궁금하시죠?
그래서 연봉별, 연봉이 1억일 때 실수령액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는 공제 항목
연봉과 실수령액, 왜 차이가 나는걸까요?
연봉은 회사가 1년 동안 지급하기로 약속한 총 급여입니다.
하지만 실수령액은 여기에서 각종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한 후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공제항목
국민연금 - 급여의 4.5% (2025년 기준)
각종 보장료들(건강, 산재, 고용)
소득세 + 지방소득세 누진세 방식으로 계산
기타 비과세 수당 제외, 성과급 등은 별도
이런 공제 항목들이 빠지면서 실제 수령하는 월급은 연봉 대비 20~30% 이상 줄어들 수 있습니다.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연봉 | 월 실수령액(약) | 연간 공제액(약) |
3,000만 원 | 약 230만 원 | 440만 원 |
4,000만 원 | 약 290만 원 | 620만 원 |
5,000만 원 | 약 360만 원 | 680만 원 |
6,000만 원 | 약 420만 원 | 760만 원 |
7,000만 원 | 약 480만 원 | 840만 원 |
8,000만 원 | 약 540만 원 | 920만 원 |
9,000만 원 | 약 600만 원 | 1,020만 원 |
1억 원 | 약 660만 원 | 1,180만 원 |
부양가족, 비과세 항목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봉 1억의 실수령액 분석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연봉 1억’.
하지만 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생각보다 적습니다.
월 실수령액: 약 660만 원
총 공제액: 약 1,180만 원
세부 공제 내역 (연간 기준)
국민연금 225만 원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370만 원
고용보험 90만 원
소득세 + 지방소득세 495만 원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요즘은 포털에서 제공하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면 아주 간편하게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쩜삼 연봉 계산기는 모바일 앱에서 확
연봉 1억이라는 숫자, 보기엔 커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금과 보험료 등으로 빠지는 금액이 많아 체감이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이 높은 요즘, 실수령액 기준으로 연봉을 다시 살펴보고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봉 협상, 이직, 예산 계획 등을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실수령액 기준으로 비교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