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조건, 계산기. 2025년 주휴수당은?

by 맑음이s 2025. 6. 11.

 

아르바이트, 단시간 근로자, 또는 정규직 초봉 근무자라면 궁금할 급여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최저시급'‘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이 뭔가요?”, “나는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나요?”,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최저시급 10,030원을 바탕으로,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계산법, 실제 월급액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

 

쉽게 말해, 일을 하지 않은 날에도 하루치 임금을 지급받는 제도죠.

 

근거법령: 근로기준법 제55조 (휴일)

대상자: 주 15시간 이상 근무 & 개근한 근로자

주휴수당은 최저임금과 별개의 개념이지만, 실질 시급을 올리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합니다. 

 

 

조건 내용
① 근로시간 1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일했을 것
② 개근 여부 정해진 근무일을 하루도 빠짐없이 출근했을 것

 

예시)

주 5일 × 3시간 근무 = 총 15시간 → 조건 충족

주 2일 × 5시간 근무 = 총 10시간 → 조건 미충족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 공식
주휴수당 = 1일 통상임금 × 1일 소정 근로시간

 

즉, 하루에 몇 시간 일했는지를 기준으로 1일치 임금을 더 받게 됩니다.

 

 

예시 1)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자
시급: 10,030원

하루 근무시간: 8시간

주휴수당 = 10,030원 × 8시간 = 80,240원

 

예시 2) 하루 4시간, 주 5일 근무자
시급: 10,030원

하루 근무시간: 4시간

주휴수당 = 10,030원 × 4시간 = 40,120원

주휴수당 포함 실질 시급 계산법

주휴수당은 실제로 일한 시간 외에도 지급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받는 시급이 높아집니다.

 

계산 공식
실질 시급 = (시급 × 총지급시간) ÷ 실제 근무시간

 

혹은 간단히

실질 시급 = 시급 + (시급 × 1일 근무시간 ÷ 주간 근무시간)

 

예시)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주 40시간)
시급: 10,030원

주휴수당: 80,240원

실질 시급 = 10,030원 + (80,240 ÷ 40) = 12,036원

 

알바천국 주휴수당 계산기

2025년 최저시급 및 월급 환산

2025년 최저임금
시급: 10,030원

월급 환산 기준 (209시간)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세전)

 

고용노동부 공식 최저임금 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월급 계산
주휴수당이 포함되면 실질적으로 월급은 더 많아집니다.

 

주휴수당 포함 총 월급 (정규직 기준)
주휴수당 포함 추가 시간: 월 약 35시간

10,030원 × 35시간 = 약 351,050원

총 월급 = 2,096,270원 + 351,050원 = 약 2,447,320원

 

※ 실제 지급방식은 근로계약서에 따라 월급에 포함되거나, 별도 지급될 수 있습니다.

 

내 권리는 스스로 확인해서 챙겨야합니다!
주휴수당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 법적으로 보장된 유급수당입니다.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라면 꼭 체크해 보세요.
아직도 주휴수당을 못 받고 있다면, 계산기를 이용해 확인하고,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에 문의하거나 사업장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